'반려동물' 태그의 글 목록 (5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반려동물135

고양이 치매예방 - 노령묘 건강관리와 돌보기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생활백서입니다. 오늘은 나이 많은 고양이 노령묘 건강관리를 어떻게 해주면 좋을지에 대하여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고양이의 두뇌 다양한 자극을 준다.  고양이는 노령기에 접어들면  잘 안 움직이려고 합니다.  이때 정신적으로든 또  신체적으로든 다양한 자극을  주어서 치매를 예방하고  고양이의 노화를 늦춰주려고  노력을 해야 합니다. 지속적으로 근육과 두뇌는 자극을 받으면 기능을 하게 되고   기능을 활발히 하는 기관은 천천히 노화가 일어나게 되는 겁니다.  반면에 기능을 잘 안 하는 기관은 당연히 노화가 빨리 되게 되는 겁니다. 퇴행을 하는 거죠.  근육이 노화로 인해 위축되고 약해지면 걷는 것이 힘들어지고 두뇌가 노화로 인해 신경이 위축되면서 인지기능 장애 증후군 즉.. 2025. 3. 22.
나이많은 고양이 건강관리 TIP!! PaRt 1. - 뇨령묘 돌봐주기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생활백서입니다. 오늘은 나이 많은 고양이 건강관리에 대하여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더욱더 외롭지 않게 해줘야 합니다. 실내 생활하는 고양이는 엄마이며  든든한 동료 고양이인 여러분이  언제나 그들의 모든 생활을 결정하고  돌봐주기 때문에 항시  여러분을 깊게 의지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자립적으로 살아온 고양이라도 노령기에 접어들면 우리의 손길에 더욱더  의존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다시 아기 고양이가 됐다고 생각하시고따스한 손길로 편안한 노후를 돌봐주셔야 합니다.  노령묘는 아무리 건강해도 여러분이  유일한 친구이고 동료이며 또 엄마입니다. 더구나 몸이 쇠약해질수록  여러분의 도움이 더욱더  절실히 필요해지는 겁니다. 그래서 나이가 들면 여러분이 곁에 없으면 전보다 더.. 2025. 3. 22.
강아지 건강을 위협하는 소변 양 변화와 갑작스런 복부팽만 안녕하세요,반려동물 생활백서입니다.오늘은 강아지 건강을 위협하는소변양의 변화와 갑작스러운 복부팽만에대하여 빠르게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가 소변 양에 변화가생기든 소변을 보지 않는다면 신장이나 췌장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소변 양이 변하면 위험합니다. 소변이 갑자기 늘었다면신장 기능이 안 좋아지는 신부전이거나 혹은 당뇨병일 수도 있습니다.이 경우는 빠르게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가 들어가지 않는다면역시 강아지를 위험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물을 마시는데도 불구하고 소변이 24시간 이상 없다면이것은 심각한 말기 심부전을 암시합니다. 신장이 더 이상 그 기능을 하지 못해  소변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것이고 이것은 곧 강아지가 죽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우리가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의 소변량의 변화는우리 강.. 2025. 3. 21.
강아지 봄 가을철 질병 - 식욕부진 - 잇몸 창백 - 바베시아 안녕하세요,반려동물 생활백서입니다.오늘은 앞에 강아지 잇몸이 창백해지거나갑자기 식욕이 없어진다면 어떠한 응급 징후가나타나는지 빠르게 알아보겠습니다.잇몸이 창백해지며갑자기 강아지가 식욕이 없어지고잇몸이 하얗게 보인다면바베시아라는 질병에 걸린 걸 수도 있습니다. 바베시아는 봄가을철로 진드기에서 옮기는 기생충성 질병으로 참진드기가강아지를 물면 체내로 침투하여 강아지의적혈구에 기생하는 아주 아주 작은원충류의 기생충의 일종입니다. 바베시아 기생충 원충은 그 수를 점차 점차 불리면서강아지 혈구를 마치 팝콘 터뜨리듯이 팡팡 터뜨리며 온몸으로 번지게 되고결과적으로 강아지에게 심한 빈혈을 유발하게 됩니다.그로 인해 발열, 식욕 부진, 활력의 소실이나황달과 같은 증상을 보이다가적절한 치료를 빨리 받지 못한다면결국은 사망에.. 2025. 3. 21.
고양이가 깨물고 핥아 줄 때 / 관절을 자꾸 핥을 때 / 집사의 눈물을 핥아 주는 의미는?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생활백서입니다. 오늘은 고양이가 깨물고 난 후 핥는 의미와 고양이가 자꾸 다리나 관절을 핥는 의미와 집사를 위로해 주며 눈물을 핥아 주는 이유를 고양이의 입장에서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여러분을 깨물고 난 후에 다시 핥아주는 건 어떤 의미일까? 고양이는 원래 사냥을 하는 육식 동물입니다. 집사와 놀다가 흥분이 고조되면 집사의 손을 덥석 물기도 하는데 그 후에 할짝할짝 핥아줍니다. 그 모습이 마치 미안해 잘못했어 실수했어 하면서 반성하는 모습 같기도 하지만 사실 나타내는 것은 미안함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고 사냥 후에 맛을 보는 듯한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놀이 과정에서 지나치게 몰입하여 사냥 무대에 접어들어 여러분의 손이나 발을 물고 그 후에 맛까지 보는 중이라는 것입니.. 2024. 1. 14.
고양이가 쓰다듬어준 곳을 다시 핥는 의미와 무언가 실패했을 때 핥는 이유는 뭘까?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생활백서입니다. 오늘은 쓰다듬어준 곳을 다시 핥는 의미와 고양이가 무언가를 시도하다 실패했을 때 자신을 핥는 이유가 어떤 건지 고양이의 입장에서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우리가 고양이를 쓰다듬었을 때. 쓰다듬었던 자리를 다시 고양이가 핥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건 어떤 의미일까요? 이것은 여러분이 건드리는 것이 싫다는 의미는 사실 아닙니다. 단지 여러분이 털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쪽으로 엉클어뜨려서 다시 자신이 원하는 결로 정리하는 과정입니다. 혹은 여러분의 손으로부터 묻은 로션이나 향수 냄새를 없애기 위해서 혀로 다시 깨끗하게 냄새를 지우는 이런 과정일 수도 있습니다. 주로 몸단장이나 털 해결을 중시하는 꼼꼼하고 깔끔한 성격의 고양이에서 자주 보이는 그런.. 2024. 1. 13.
고양이가 핥는 행동들의 다양한 의미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생활백서입니다. 혀로 자신의 몸이나 혹은 주변의 상대를 핥는 행동은 고양이를 고양이답게 하는 본능 중 하나입니다. 고양이의 상태를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행동입니다. 오늘은 고양이의 본능 중 하나인 핥기 행동들에 대한 다양한 의미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양이 핥는 행동의 다양한 의미 고양이는 생후 2개월 전부터 스스로 그루밍을 하기 시작합니다. 그루밍 즉 자신의 털을 핥는 행동 사냥 전 자신의 냄새를 지우고 또 자신의 몸을 깨끗이 한다는 목적 이외에도 정신적으로 안정감을 찾을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의식 중 하나입니다. 엄마 고양이가 새끼 때부터 아기 고양이를 많이 핥아준다면 아기 고양이는 자라면서 정서적으로 매우 안정된 건강한 고양이가 될 것입니다. 또한 고.. 2024. 1. 12.
강아지를 잃어버렸을때 찾는 8가지 방법 잃어버린 강아지를 찾는 행동 메뉴얼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생활백서입니다. 산책 중 강아지를 잃어버리거나 우연히 열린 현관문을 보고 집을 나갔다가 못 돌아오는 강아지들이 종종 있습니다. 갑자기 내게 이런 일이 생긴다면 굉장히 당황해서 어떤 일부터 해야 할지 잘 모르게 되는데요. 무작정 동네를 뛰어나기 전에 해볼 수 있는 일이 몇 가지가 있습니다. 오늘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이겠지만 만약에 강아지를 잃어버렸다면 어떤 것들을 순서대로 해야 하는지 또 찾을 수 있는 확률을 높이려면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초기 대응이 가장 중요합니다. 잃어버린 곳으로부터 활동 반경을 넓혀가며 큰 소리로 강아지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이름을 아주 큰 소리로 부르는 이유는요 강아지가 이름에 반응할 확률도 높기도 하지만 지.. 2023. 11. 19.
1인 가구를 위한 혼자 사는 사람이 비교적 키우기 좋은 강아지 품종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생활백서입니다. 강아지는 키우고 싶은데 혼자 산다는 부담으로 인해 못 키우는 분들이 많습니다. 또 한편에서는 혼자 사는 분들이 이미 훌륭하게 강아지와 함께 거주하며 행복한 생활을 누리고 있습니다. 어떤 특징을 가진 강아지가 혼자 사는 사람에게 적합한 강아지일까? 또 어떤 품종이 혼자 사는 사람에게 적합한 성격을 가지고 있을까? 오늘은 1인 가구를 위한 혼자 사는 사람들이 키우기 쉬운 강아지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인 가구를 위한 혼자 사는 사람이 비교적 키우기 좋은 강아지 품종 첫 번째 프렌치 불독 소용이지만 근육질의 체격을 가지고 있으며 옆모습이 굉장히 독 독특한 귀와 왠지 험상국의 귀여운 얼굴이 특징입니다. 생긴 것과 달리 프렌치 불독들은 온순하고 착한 성격을 가지고 있.. 2023. 11. 16.